본문 바로가기

OS/Linux

Ubuntu Oneiric Ocelot 11.10을 설치한 후 해야 할 것들 (3. 유용한 Apps)

출처 :http://ioriy2k.pe.kr/archives/4557


System 설정Desktop 설정에 이어 이번 Post에서는 설치하면 유용한 Application을 소개합니다.


19. Chrome Web Browser 설치

Google Chrome

Google Chrome

얼마 전에 Google Chrome 사용자가 Firefox 사용자를 앞질렀다는 Research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만큼 Google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과 동시에 Firefox보다 가볍고 빠른 Chrome이 사용자의 입맛에 잘 맞았다는 이야기가 될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Chrome Browser는 기능면에서 아직 Firefox보다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Javascript 처리 속도는 발군이지만 아직 여러 Bug들이 보이네요. Web에서 빠른 업무 처리를 위해서라면 Chrome은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Ubuntu에서 Chrome을 설치하려면 Google의 Repository를 이용하면 됩니다.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4
$ wget -q -O - 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 sudo sh -c 'echo "deb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table main" >> /etc/apt/sources.list.d/google-chrome.li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google-chrome-stable

20. Flash Player 설치 (64bit Only)

Adobe에서 배포하는 Flash Player는 기본적으로 32Bit OS만을 지원합니다. 때문에 64bit OS에서 Ubuntu Restricted Addons Package를 통해서 설치되는 Flash Player는 32bit Flash Player를 Wrapping하여 실행하게 됩니다.

Wrapper를 통해 실행된 Flash Player는 Performance에 문제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현재 개발중인 64bit Flash Player를 설치하면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됩니다.

64Bit Flash Player는 Ubuntu의 Partner 저장소를 통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소스 설정에서 케노니칼 파트너를 활성화했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설치합니다.

1
$ sudo apt-get install adobe-flashplugin
Chrome - Plugins

Chrome - Plugins

Chrome이나 Firefox의 주소창에 about:plugins를 입력한 다음, Flash Plugin의 정보가 위와 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64bit Flash Player가 설치된 것입니다.

21. Adobe AIR 2.6 Runtime 설치

Adobe AIR는 2.6 Version을 마지막으로 Linux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였습니다.

Cross Platform을 지원하는 Runtime으로 Adobe AIR가 충분히 Merit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마저도 버린다는 것은 더욱 자신들의 입지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나을 거라 생각합니다. 잠시 Flex로 개발을 해본 입장으로서 이런 선택을 하는 Flash Platform의 상황이 참 안타깝네요.

어쨌던, 아직까지 Adobe AIR를 사용하는 App들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Runtime 설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아래에서는 각 Architecture별로 설치법을 설명합니다.

21.1. 32bit OS일 경우

Adobe AIR는 32Bit Architecture만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2
3
$ wget "http://airdownload.adobe.com/air/lin/download/2.6/AdobeAIRInstaller.bin"
$ chmod 755 AdobeAIRInstaller.bin
$ sudo ./AdobeAIRInstaller.bin

21.2. 64bit OS일 경우

32Bit만을 지원하는 Adobe AIR를 64Bit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법이 좀 복잡합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Script를 만들어 봤습니다. 아래의 Script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Downlaod한 Script를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1
2
3
$ mv AdobeAIRInstaller_x64.txt AdobeAIRInstaller_x64.sh
$ chmod 755 AdobeAIRInstaller_x64.sh
$ ./AdobeAIRInstaller_x64.sh

Scipt를 통해 AIR Runtime의 설치과정까지 끝나면 설치가 모두 완료됩니다.

이전 배포판까지는 64bit에서 한글입력에 문제가 있었지만, Oneiric Ocelot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IME자체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SCIM으로 IME를 변경할 것을 추천합니다.

22. TweetDeck 설치

Adobe AIR의 Linux 지원 중단으로 인해서 TweetDeck은 Adobe AIR를 포기하고 Web App과 Windows, Mac의 Native App을 지원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Ubuntu에서 TweetDeck을 사용하려면 Web App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이전 AIR로 만들어진 TweetDeck을 구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합니다.

22.1. TweetDeck Web App (HTML5)

TweetDeck Web App은 Linux용 Native App을 지원하지 않는 TweetDeck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Web App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Chrome 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TweetDeck Website

TweetDeck Website

먼저 TweetDeck Site에서 Chrome App을 Click합니다.

Install TweetDeck Web App

Install TweetDeck Web App

Chrome Web Store에서 TweetDeck Web App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CHROME에 추가 Button을 Click합니다. (Google 계정 Login 필요)

Chrome - New Tab

Chrome - New Tab

설치된 TweetDeck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바로가기를 만들어 봅시다. 새 탭에서 TweetDeck Icon에 Mouse 오른쪽 Popup을 띄운 후, 바로가기 만들기를 Click합니다.

Create Shortcut

Create Shortcut

Popup에서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Check하고 만들기를 누릅니다.

TweetDeck - First Run

TweetDeck - First Run

GNOME Shell이나 Unity에서 인터넷 -> TweetDeck을 Click하면 Web App이 실행됩니다. 이전 AIR Version과 다른 점은 반드시 TweetDeck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TweetDeck 계정을 만들고 Login합니다. Keep me signed in을 Check하면 다음번 실행에서도 Login 정보를 기억합니다.

Login하면 설정창에서 Twitter 계정과 연동합니다. 연동한 다음에는 특별한 설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TweetDeck - Web App

TweetDeck - Web App

Web App으로 실행한 TweetDeck은 TweetDeck 내에서 외부 Image나 동영상을 볼 수가 없어서 이전보다 조금 불편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 특별히 불편한 부분은 없는 것 같네요.

22.2. TweetDeck AIR

TweetDeck AIR Version은 이제 TweetDeck Site에서 Download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검색으로 이전의 AIR 설치 Package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Download한 File을 Nautilus에서 Double-Click하여 실행하거나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 Adobe\ AIR\ Application\ Installer `pwd`/TweetDeck_0_38.2.air
TweetDeck - Install

TweetDeck - Install

AIR Installer의 설치화면에서 설치를 누릅니다.

TweetDeck - Install Path

TweetDeck - Install Path

설치 경로는 특별히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계속을 누릅니다.

TweetDeck - License

TweetDeck - License

License에 동의함을 누릅니다.

TweetDeck - First Run

TweetDeck - First Run

설치가 끝난 TweetDeck은 GNOME Shell이나 Unity에서 보조 프로그램 -> TweetDeck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TweetDeck을 실행한 다음, Twitter 계정과 연동하기 위해서 Add Twitter를 눌러 Twitter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TweetDeck - No Hangul

TweetDeck - No Hangul

Twitter 계정과 연동이 되면 TweetDeck을 이용하여 Twitt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설정이 필요합니다. 오른쪽 위의 설정 Icon을 Click합니다.

TweetDeck - Settings

TweetDeck - Settings

Settings에서 Colors/Font의 International Font/TwitterKey를 Check하고 Save Settings를 누르면 한글로 작성된 Tweet이 제대로 보이게 됩니다.

23. Thunderbird Add-on 설치

Thunderbird

Thunderbird

Oneiric Ocelot으로 오면서 Default Mail Client가 Evolution에서 Thunderbird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항목에서는 Thunderbird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유용한 Add-on을 소개합니다.

Lightning Add-on은 Thunderbird를 통해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Provider for Google Calendar Add-on은 Google Calendar와 Lightning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설치를 하려면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1
$ sudo apt-get install xul-ext-lightning xul-ext-gdata-provider
Add Mail Account

Add Mail Account

Thunderbird를 처음으로 실행하면 Mail 계정을 설정합니다. Mail 주소와 암호를 입력하면 Mail Server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Install Add-ons

Install Add-ons

System에 설치한 Add-on으로 인해서 위와 같은 설치화면이 표시된다면, 설치 허가를 Check하고 Thunderbird 다시 시작을 누르면 Add-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Calendar

Google Calendar

Google Calendar를 Lightning과 연동하려면 먼저 Google Calendar에서 연동할 Calendar의 설정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캘린더 주소의 ICAL을 Click한 다음, 화면에 표시되는 캘린더 주소를 복사합니다.

Thunderbird - Calendar

Thunderbird - Calendar

그리고 Thunderbird의 Calendar에서 New Calendar를 Click합니다. (또는 파일 -> 새로 만들기 -> Calendar)

New Calendar - Location

New Calendar - Location

Dialog에서 On the Network를 Check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New Calendar - Google Calendar

New Calendar - Google Calendar

Format에서 Google Calendar를 Check한 다음, Location에 방금 전에 복사했던 캘린더 주소를 붙여넣고 다음을 누릅니다. Cache는 아직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Check하지 않습니다.

New Calendar - Login

New Calendar - Login

Calendar에 접속하기 위한 Google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사용자 이름에는 반드시 Mail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반복된 암호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이 암호를 암호 관리자에 저장을 Check합니다.

New Calendar - Customize

New Calendar - Customize

마지막으로 Customize를 위해 이름을 입력하고 Calendar에 표시될 색을 설정하면 Google Calendar와의 연동이 완료됩니다.

Search Add-ons

Search Add-ons

소개한 Lightning과 관련된 Add-on 외에도 부가 기능 관리자(도구 -> 부가 기능)의 검색 기능을 통해 다른 Add-on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서 아래의 Add-on을 검색하여 설치하면 유용합니다.

  • MinimizeToTray revived: Thunderbird를 최소화하거나 닫을 때 Tray에 Icon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 Thuderbird Conversations: GMail과 유사하게 서로 주고 받은 Mail의 내용이 대화 내용처럼 한 화면에 표시됩니다.
  • Zindus: Gmail의 연락처와 Thunderbird의 주소록을 동기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4. NixNote 설치

NixNote

NixNote

NixNote는 Web Note인 Evernote의 Unofficial Linux Client입니다.

설치를 위해서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 sudo add-apt-repository ppa:vincent-c/nevernote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nixnote
NixNote - Settings (Connection)

NixNote - Settings (Connection)

GNOME Shell이나 Unity에서 인터넷 -> NixNote를 Click하면 NixNote가 실행됩니다. NixNote를 설정하기 위해서 Edit -> Preferences를 Click하면 위와 같은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Evernote의 계정과 동기화를 위해서 Connection에서 UserId와 Password에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자동 동기화를 위해서 위의 그림에 표시한 4개의 항목을 Check하고 OK를 누릅니다.

NixNote - Synchronize

NixNote - Synchronize

그리고 마지막으로 Tools -> Connect를 눌러서 계정에 Login한 다음, Tools -> Synchronize with Evernote를 눌러 Evernote 계정의 Note와 동기화합니다. (Note의 양이 많은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24.1. NixNote를 Login시에 시작하는 방법

Windows의 Evernote와 같이 시작 시에 NixNote를 실행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NixNote - Settings (Appearance)

NixNote - Settings (Appearance)

NixNote의 Edit -> Preferences를 Click하여 설정창을 띄운 다음, Appearance에서 위의 그림과 같이 Minimize To Tray, Minimize On Close, Start Minimized를 Check하고, Show Splash Screen on Startup은 Uncheck합니다.

Startup Applications

Startup Applications

GNOME Shell에서 기타 -> 시작 프로그램(Unity는 개인화 -> 시작 프로그램)을 Click하여 시작 프로그램 설정을 실행한 다음 추가를 누릅니다.

Add Application

Add Application

시작 프로그램 추가 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추가 Button을 누르면 다음 Login 시부터 NixNote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25. Dropbox 설치

Dropbox Indicator

Dropbox Indicator

Web Cloud Storage Service인 Dropbox는 이번 Oneiric Ocelot에 오면서 Ubuntu Repository에 추가되었습니다. 따로 Download할 필요없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 sudo apt-get install nautilus-dropbox
Restart Nautilus

Restart Nautilus

설치한 다음에는 위와 같은 창이 표시됩니다. Restart Nautilus를 Click하여 Nautilus를 재시작한 후 다음 Button을 누릅니다.

Start Dropbox

Start Dropbox

Start Dropbox를 누르면 Dropbox 설치가 시작됩니다. 이후의 과정은 Dropbox의 계정 설정이기 때문에 지면상 생략합니다.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Dropbox Indicator가 자동으로 Login 시에 시작됩니다.

26. ClipIt Clipboard Manager 설치

ClipIt Clipboard Manager

ClipIt Clipboard Manager

ClipIt Clipboard Manager는 Application에서 Clipboard로 복사한 내용이 해당 Application이 종료될 때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Clipboard 관리 program입니다.

설치를 하려면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1
2
3
$ sudo add-apt-repository ppa:shantzu/clipi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clipit

설치 후에 GNOME Shell이나 Unity에서 보조 프로그램 -> ClipIt을 Click하면 다음 Login 시에도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ClipIt - History

ClipIt - History

유용한 기능으로는 History 기능이 있습니다. Ctrl + Alt + H를 누르면 Popup이 표시되면서 이전 Clipboard의 History가 간단하게 표시되고 선택한 내용이 Clipboard에 복사됩니다.

27. Picasa 설치

Google Picasa

Google Picasa

Google Picasa는 Photo, Image를 관리하는 Software입니다. GNOME에도 이와 유사한 Shotwell이 있지만 기능이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Linux용 Picasa는 Windows용 Picasa를 Wine을 사용하여 Emulating한 것이기 때문에 약간의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먼저, 설치를 위해서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 sudo sh -c "echo 'deb http://dl.google.com/linux/deb/ testing non-free' >> /etc/apt/sources.list" sudo apt-key adv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keys 7FAC5991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picasa

설치한 Picasa는 GNOME Shell에서 그래픽 -> Picasa(Unity에서는 영상 -> Picasa)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27.1. Picasa 한글 설정

설치된 Picasa는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한글 표시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Activity - Picasa Font Settings

Activity - Picasa Font Settings

GNOME Shell에서 그래픽 -> Picasa Font Settings(Unity에서는 영상 -> Picasa Font Settings)를 Click합니다.

Picasa Font Configure - Font Linking

Picasa Font Configure - Font Linking

Picasa Font Configure에서 Font Linking Tab의 Add를 Click합니다.

Add Font Dialog

Add Font Dialog

Add Font Dialog에서 Font를 한글 글꼴이 포함된 Font를 선택합니다. 다만 한글 Font의 경우 Font 이름이 한글로 되어 있어서 위의 그림과 같이 네모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감으로 네모로 표시된 Font 중 하나를 선택해서 Test하는 수 밖에 없네요. :(

Picasa Font Configure - Menu Font

Picasa Font Configure - Menu Font

그리고 Menu Font Tab에서 Menu Font도 마찬가지로 네모로 표시된 한글 Font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Font List의 순서는 변하지 않으니까 순서를 기억해서 선택하는 것도 요령이 될 것 같네요.

Font 선택이 완료되면 OK를 눌러 Dialog를 닫고 Picasa를 실행해서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Google이 이런 부분은 빨리 수정했으면 좋겠군요.. :( )

28. UMPlayer 설치

UMPlayer

UMPlayer

UMPlayer는 MPlayer의 Front-end인 SMPlayer의 Fork로 Youtube와 Shoutcast Streaming을 지원하는 Media Player입니다.

설치를 위해서는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 sudo add-apt-repository ppa:nilarimogard/webupd8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umplayer

설치된 UMPlayer는 GNOME Shell에서 음악과 비디오 -> UMPlayer(Unity는 매체 -> UMPlayer)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UMPlayer - Preferences (Video)

UMPlayer - Preferences (Video)

UMPlayer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옵션 -> 환경 설정을 Click하면 위와 같은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영상의 처리 속도를 위해서는 일반의 영상 Tab에서 Output driver를 설정해야 합니다. 보통 xv, gl, gl2 정도를 사용하는데 설정을 변경하면서 직접 동영상을 재생하여 사양에 맞는 Output Driver를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NVIDIA Chipset의 Graphic Card(Geforce 8 Series 이상)를 사용하고 NVIDIA Driver를 설치했다면, vdpau를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VDPAU는 GPU를 사용하여 Video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 것이기 때문에 좋은 Performance를 보여줄 것입니다.

UMPlayer - Preferences (Audio)

UMPlayer - Preferences (Audio)

Audio Tab에서는 System 전역의 Sound를 관리하는 Pulseaudio를 사용하기 위해서 Output driver를 Pulse로 선택합니다.

UMPlayer - Preferences (Subtitles)

UMPlayer - Preferences (Subtitles)

자막 설정을 위해서 자막의 자막 Tab에서 기본 자막 인코딩을 한국어 만자집합 (CP949)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Try to autodetect for this language를 Check하고 Korean (ko)를 선택합니다.

UMPlayer - Preferences (Font and Colors)

UMPlayer - Preferences (Font and Colors)

그리고 자막의 Font and colors Tab에서 Enable SSA/ASS subtitles를 Click하면 좀 더 예쁜 자막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Bug로 인해 다른 설정을 변경하면 자막 색상이 노란색으로 고정됩니다. 다른 설정을 변경했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다시 설정하면 됩니다.

1
$ rm -f ~/.config/umplayer/style.ass ~/.config/umplayer/umplayer.ini

29. Kdenlive 설치

Kdenlive

Kdenlive

Kdenlive는 Adobe의 Premiere와 유사한 Video Editor로 여러 Effect와 Video Format을 지원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OpenShot과 같은 Linux에서 동작하는 다른 Video Editor보다 더 나은 것 같네요.

Kdenlive Error

Kdenlive Error

Ubuntu Repository의 Kdenlive를 설치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실행 시에 Error(MLT’s SDL module not found)가 표시됩니다. 하지만 PPA를 통해서 Kdenlive를 설치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설치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1
2
3
4
5
6
7
$ sudo add-apt-repository ppa:sunab/kdenlive-svn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Ubuntu Repository의 Kdenlive를 설치한 경우)

$ sudo apt-get install kdenlive
(이전에 Kdenlive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설치된 Kdenlive는 GNOME Shell에서 음악과 비디오 -> Kdenlive(Unity는 매체 -> Kdenlive)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30. VirtualBox 설치

Oracle VM VirtualBox

Oracle VM VirtualBox

Desktop 가상화 Software인 VirtualBox를 설치하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4
$ wget -q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debian/oracle_vbox.asc -O- | sudo apt-key add -
$ sudo sh -c 'echo "deb http://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debian oneiric contrib" >> /etc/apt/sources.list.d/virtualbox.lis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4.1

설치된 VirtualBox는 GNOME Shell에서 시스템 도구 -> Oracle VM VirtualBox(시스템 -> Oracle VM VirtualBox)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30.1. Extension Pack 설치

Guest OS에서 USB 2.0 Devic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xtension Pack을 설치해야 합니다.

VirtualBox Website

VirtualBox Website

먼저 Extension Pack을 Download하기 위해서 VirtualBox Site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위의 그림의 All platforms를 Click하여 File을 Download합니다.

Preferences - Extensions

Preferences - Extensions

VirtualBox를 실행한 다음, 파일 -> 환경설정을 누르면 위와 같은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확장에서 위의 그림에 표시한 패키지 추가 Icon을 Click합니다.

Install Extension Pack

Install Extension Pack

Open Dialog에서 Download한 Extension Pack을 선택하면 설치여부를 묻습니다. 설치를 누르면 Extension Pack이 System에 설치되고 이후에는 USB 2.0 Device를 Guest OS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0.2. “USB 하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

USB Access Error

USB Access Error

Extension Pack을 설치했는데도 위와 같은 Error가 표시된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 다음 Rebooting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VirtualBox를 실행하는 User가 foo인 경우의 예)

1
$ sudo usermod -a -G vboxusers foo

31. Google Earth 설치

Google Earth

Google Earth

Google Earth는 사용하면 지구를 가상으로 여행하거나 위성사진, 지도 등의 여러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pplication입니다.

Google Earth를 설치하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4
5
6
7
8
$ sudo apt-get install googleearth-package lsb-core msttcorefonts
(32bit일 경우)

$ sudo apt-get install googleearth-package lsb-core msttcorefonts ia32-libs
(64bit일 경우)

$ make-googleearth-package
$ sudo dpkg -i googleearth*.deb

설치된 Google Earth는 GNOME Shell이나 Unity에서 인터넷 -> Google Earth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31.1. Google Earth의 Font를 변경하는 방법

Google Earth (Pretty Font)

Google Earth (Pretty Font)

설치된 Google Earth는 Font를 TrueType이 아닌 Raster Font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기가 좋지 않습니다. Google Earth Package내에 들어있는 QT Library 대신 System에 설치된 QT Library를 사용하면 좀 더 보기 편하게 글꼴이 표시됩니다.

먼저 Google Earth에 포함된 QT 관련 Library를 Backup하기 위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4
5
6
7
8
9
$ sudo -s -H
$ cd /usr/lib/googleearth
$ mv libcurl.so.4 libcurl.so.4.bak
$ mv libGLU.so.1 libGLU.so.1.bak
$ mv libnss_mdns4_minimal.so.2 libnss_mdns4_minimal.so.2.bak
$ mv libQtCore.so.4 libQtCore.so.4.bak
$ mv libQtGui.so.4 libQtGui.so.4.bak
$ mv libQtNetwork.so.4 libQtNetwork.so.4.bak
$ mv libQtWebKit.so.4 libQtWebKit.so.4.bak

그 다음, System의 QT Library에 포함되지 않은 Image관련 Library를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 32bit:
    1
    2
    3
    4
    5
    6
    7
    8
    9
    10
    $ sudo apt-get install libfreeimage3 libphonon4
    $ sudo vi /usr/bin/googleearth

    export LD_LIBRARY_PATH

    # 추가 Line 시작
    export LD_PRELOAD=/usr/lib/libfreeimage.so.3
    # 추가 Line 끝

    /usr/lib/googleearth/googleearth-bin "$@"
  • 64bit:
    1
    2
    3
    4
    5
    6
    7
    8
    9
    10
    11
    12
    $ wget "https://launchpad.net/~nutznboltz/+archive/cappy-getlibs-all/+files/getlibs_2.06-1~ppa1~natty1_all.deb"
    $ sudo dpkg -i getlibs*.deb
    $ sudo getlibs -p libfreeimage3 libphonon4
    $ sudo vi /usr/bin/googleearth

    export LD_LIBRARY_PATH

    # 추가 Line 시작
    export LD_PRELOAD=/usr/lib32/libfreeimage.so.3
    # 추가 Line 끝

    /usr/lib/googleearth/googleearth-bin "$@"

마지막으로 QT Library에서 사용하는 Image Format 관련 Plugin Library를 설치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1
2
3
4
5
6
7
8
9
$ cd /usr/lib/googleearth/plugins/imageformats
$ sudo mv libqgif.so libqgif.so.bak
$ sudo mv libqjpeg.so libqjpeg.so.bak
$ cd ~
$ wget "http://dl.dropbox.com/u/6331820/ge6_replacement_opensuse.tar.gz"
$ tar xvzf ge6_replacement_opensuse.tar.gz
$ sudo cp ge6_replacement_opensuse/plugins/imageformats/* /usr/lib/googleearth/plugins/imageformats/
$ sudo chown root:root /usr/lib/googleearth/plugins/imageformats/*
$ sudo chmod 644 /usr/lib/googleearth/plugins/imageformats/*

이제 System에서 설치된 QT Library를 Google Earth가 사용하도록 설정이 모두 끝났습니다. Google Earth를 실행하면 이전보다 깔끔한 Font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위와 같이 설정한 후에 “Google Earth has caught signal 11.”이라는 Error가 Terminal에서 발생하면서 Google Earth가 자동으로 종료된다면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다시 실행하면 됩니다.

1
2
3
4
5
6
$ vi ~/.config/Google/GoogleEarthPlus.conf

[General]
enableTips=false

(General Section에서 enableTips를 검색해서 변경함. 없으면 위의 내용을 추가)

참고한 Post:

32. FreeMind 설치

FreeMind

FreeMind

Open-source Mindmap Software인 FreeMind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합니다.

1
$ sudo apt-get install freemind

설치된 FreeMind는 GNOME Shell에서 오피스 -> FreeMind(Unity는 사무도구 -> FreeMind)를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32.1. .mm 확장자의 기본 Program 설정

Nautilus에서 FreeMind의 저장 File인 .mm 확장자를 가진 File을 열 때, Freemind가 기본 Program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Nautilus에서 기본 Program을 변경하려면 기존에 등록된 Application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데, FreeMind가 List에 추가되어 있지 않아서 설정을 변경할 수가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Terminal에서 입력하면 Nautilus에서 .mm File을 열 때 FreeMind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1
2
3
4
5
6
7
$ sudo vi /usr/share/applications/defaults.list

application/x-freemind=freemind.desktop

(마지막 Line에 위의 내용을 추가)

$ nautilus -q

33. Ubuntu Tweak 설치

Ubuntu Tweak

Ubuntu Tweak

Ubuntu Tweak은 Ubuntu에 숨겨진 기능들을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oftware입니다. 하지만 이전 Version에 비해서 Oneiric Ocelot에서 새롭게 변경된 Ubuntu Tweak은 쓸모가 줄어든 느낌입니다.

설치를 위해서 Terminal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
2
3
$ sudo add-apt-repository ppa:tualatrix/next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ubuntu-tweak

설치된 Ubuntu Tweak은 GNOME Shell에서 시스템 도구 -> Ubuntu Tweak(Unity는 시스템 -> Ubuntu Tweak)을 Click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Ubuntu Tweak - File Ext Manager

Ubuntu Tweak - File Ext Manager

Ubuntu Tweak의 몇 가지 유용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위 그림의 Admins -> 파일종류 관리자는 FreeMind 항목에서 언급한 Nautilus의 기본 Program 설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파일종류 관리자에서는 각 확장자에 대한 기본 Program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Program List에 등록되지 않은 Program도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Ubuntu Tweak - Computer Janitor

Ubuntu Tweak - Computer Janitor

Computer Janitor는 Windows에서 사용하는 CCleaner의 정리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필요없는 Thumbnail이나 Apt Cache, Kernel 등을 정리하여 Disk 공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34. 이외에 추천할 만한 Application

Chrome - External Protocol

Chrome - External Protocol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것들 이외에 추천할 만한 Application의 Link를 적어 놓습니다.

Ubuntu에서 Firefox나 Chrome으로 이 Page에 접속하여 각 Application의 이름을 Click하면 위와 같은 Dialog가 표시됩니다. 확인을 누르면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통하여 해당 Application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35. 마치면서…

이것저것 삽질하던 것을 모두 적어놓으니 양이 상당하네요. 다음 배포판이 나올 때까지 얼마 남지는 않았지만 제가 삽질했던 내용이 Ubuntu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