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B 잘 쓰기 출처 : http://kldp.org/node/71806 디버깅 작업 또는 프로그램의 안전성을 검사할 때 디버거를 잘 쓰면 꽤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개발자들이 GDB를 써서 디버깅을 하고 있지만, GDB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기능들을 거의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자주 쓰이지는 않을 지언정, 알면 매우 도움이 되는 기능들을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이 글을 읽는 분들이 GDB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 (특히 break, run, continue, file, backtrace, print 등)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모르신다면Emacs/GDB/etags/cscope나 기타 GDB manual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Breakpointsbreak.. 더보기 리눅스 개발자를 위한 디버깅 기법 출처 임베디드 월드 : http://www.embeddedworld.co.kr/article/view.asp?article_idx=7347 개발자가 제일 싫어하는 작업 세 가지로 첫째는 문서화작업, 둘째는 (자신이나 남이 작성한 코드) 디버깅, 셋째는 남의 코드 읽는 작업을 꼽을 수 있다. 개발자가 이런 작업을 싫어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실제로 자신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즐거움에서 멀어져 있기 때문이다. 디버깅은 버그 추적 과정 내내 상당한 인내심을 요할 뿐더러 투자한 시간 대비 성능이 떨어진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어느 누구도 디버깅이라는 숙명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수를 써서라도 디버깅과 친숙해져야 한다. 본 연재 기사에서는 리눅스를 중심으로 누구나 피하고 싶은 디버깅 작업을 도와주는 .. 더보기 정부지원 사업 계획서(제안서) 작성 및 발표의 원칙과 전략 정부지원 사업 계획서(제안서) 작성 및 발표의 원칙과 전략 정부지원 사업(과제)을 신청할 때는 몇 가지 원칙에 따라 사업계획서와 제안서를 써야 한다. 또한 발표(Presentation)에 있어서도 몇 가지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포인트가 있다. 최근 가장 많은 사업이 발주, 공고 되고 있는 R&D 사업과 지역균형발전 관련 사업을 염두에 두고 다음과 같이 계획서(제안서) 작성 및 발표의 원칙과 전략을 제시해 본다. 1. 사업계획서(제안서) 작성의 원칙과 전략 제안내용이 논리적이어야 한다. • 전체 맥락과 흐름이 최대한 논리적이어야 하며 ‘논리의 비약'이 있어서도 안된다. • 시종일관 논리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Stick to the Subject) • 사업의 구성요소들 간에도 상호 논리적 연관관계가 ..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다음